대마도의 최익현 순국비 <1065호>
상태바
대마도의 최익현 순국비 <1065호>
  • 김세곤 역사칼럼니스트
  • 승인 2019.11.25 11: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1월 17일은 ‘순국선열의 날’이다. 정부는 순국선열의 날 80주년 기념식을 1905년 을사늑약이 체결된 곳인 덕수궁 중명전에서 거행하였다. 2017년에 대마도 여행을 했다. 이즈하라 수선사(修善寺)에서 면암 최익현(1833~1906) 순국비를 보았다. 비 앞면에는 “大韓人 崔益鉉先生 殉國之碑 (대한인 최익현 선생 순국 지비)”, 뒷면에는 “면암 최익현 선생이 1907년 1월 1일 대마도 경비대 감옥에서 순국하여 상여가 본국으로 운구 될 때 이 절에 머물렀다. 세월이 흘러감에 따라 선생의 사적이 사라질까 걱정스러워이 비를 세운다. 1986.8.3 한국 대표 황수영 찬”이라고 적혀 있다.

비 옆면에는 비를 세운 한국과 대마도 위원들의 이름이 적혀 있다. 한국 측은 대표위원이 황수영이고 위원은 일해재단(日海財團), 김기환 등이다. 1986년 8월 순국 비 제막식 때 KBS 취재팀이 대마도의 향토사학자 나카도메 히사에와에게 “항일투사의 순국비를 왜 일본에 세우는가?”라고 질문하였다. 나카도메는 “나라를 걱정하는 마음은 세계 어느 나라든 다 같다. 이를 주창하는 것이 곧 무사도(武士道)이다”라고 답하였다. 일본에 무사도가 있다면 조선에는 선비정신이 있다.

그러면 최익현의 항일투쟁과 대마도 순국과정을 살펴보자. 1905년 11월 17일 을사늑약으로 조선은 외교권을 강탈당했다. 「황성신문」 주필 장지연이 쓴 사설 ‘오늘, 목 놓아 통곡하노라(是日也放聲大哭)’를 읽은 백성들은 통곡하였다. 홍만식, 민영환, 조병세가 자결하고 최익현 등 선비들은 잇달아 ‘을사늑약은 무효이고 이완용, 박제순, 이지용 등 을사오적을 처벌하라고’ 상소하였다. 그런데 조정은 상소를 무시했다. 이러자 최익현은 의병투쟁을 계획하였고 그는 전라도를 주목하였다. 경기도 포천 출신이지만 명망이 높았던 최익현은 문인 고석진의 주선으로 임병찬(1851~1916)을 만났다. 임병찬은 전북 옥구 출신으로 낙안군수를 하였으며 동학농민군 지도자 김개남 체포에 공을 세워 전투경험이 풍부하였다. 1906년 5월 29일에 최익현은 담양군 추월산 용추사에서 기우만 등 호남 유생 50명과 만나 대일항전을 협의하였다. 6월 4일에 최익현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이 된 전북 태인(정읍시 칠보면) 무성서원에서 강회(講會)를 열고 거의(擧義)를 호소했다. 80명의 유생들이 즉시 자원하여 태인 의병이 조직되었다. 최익현은 일본이 저지른 기만적 배신행위 16조목을 따지는 ‘의거소략 (義擧疏略)’을 배포하면서 의병모집에 전력을 다했다. 특히 그는 포수 확보에 치중하였는데 포수 채상순도 초대 대법원장을 한 김병로와 함께 의병에 가담하였다. 최익현을 따르는 의병은 900여 명에 이르렀다. 조선 정부와 일제는 즉각 대응태세에 들어갔다. 일제는 광주, 전주, 남원, 안동의 조선군을 동원하여 의병을 진압토록 하였다. 6월 12일에 순창전투가 일어났다. 교전해야 할 상대가 조선군 진위대임을 알게 된 최익현은 ‘동족끼리는 싸울 수 없다’며 의병 해산을 명하였다. 6월 14일에 조선군 진위대는 최익현과 ‘12의사(義士)’를 체포하여 서울로 압송하였다. ‘12 의사’는 임병찬, 고석진, 최제학, 김시술 등이다. 8월 14일에 일제는 최익현에게 대마도 감금 3년, 임병찬에게 대마도 감금 2년, 고석진, 최제학에게 군사령부 감금 4개월, 나머지는 태형 100대를 선고했다. 부산포 초량에 도착한 최익현은 버선바닥에 조선의 흙을 깔았고 임병찬에게 물 한 동이를 떠오게 했다. 일본의 흙을 밟지 않고 일본 물을 먹지 않겠다는 의지였다. 8월 27일에 대마도 이즈하라 일본군 위수영에 투옥된 최익현은 단식 투쟁을 하였다. 그리고 4개월 후인 1907년 양력 1월 1일 새벽에 순국하였다. 나이 74세였다. 1910년 8월 경술국치에 절명 시 4수를 쓰고 순절한 매천 황현(1855~1910)은 『매천야록』에서 아래와 같이 적었다.

“1월 1일에 최익현이 대마도에서 죽었다. 왜놈들도 그의 충의에 감복하여 줄지어 조문했다. 1월 5일에 시신이 부산에 이르자 장사꾼들이 시전을 거두고 통곡하였다. 승려, 기생, 거지에 이르기까지 부의를 들고 와 인산인해를 이루니 마치 저자 바닥 같았다. 동래에서 떠나던 날에는 상여가 몇 차례나 움직이지 못했다. 상주에 이르자 왜놈들은 상여를 기차에 싣고 고향에 도착했다.”

청나라의 원세개와 일본 통감 이토 히로부미도 추모 글을 보내왔다. 그런데 조선 조정은 애도의 뜻 하나 표하지 않았으니 친일파가 득실거린 탓이었다. 1월 20일에 최익현은 충남 예산군 무동산 기슭에 묻혔다. 최익현은 정녕 애국지사(愛國志士)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 인문캠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거북골로 34 (명지대학교) 학생회관 2층
  • 자연캠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명지로 116 학생회관 2층
  • 대표전화 : 02-300-1750~1(인문캠) 031-330-6111(자연캠)
  • 팩스 : 02-300-1752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승환
  • 제호 : 명대신문
  • 창간일 : 1954년 11월
  • 발행인 : 유병진
  • 편집인 : 송재일
  • 편집장 : 한지유(정외 21)
  • 디자인·인쇄 : 중앙일보M&P
  • - 명대신문의 모든 콘텐츠(영상, 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명대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mjupress@hanmail.net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