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초기 공납백자- 백자공안부명접시편
상태바
조선 초기 공납백자- 백자공안부명접시편
  • 최홍
  • 승인 2011.05.25 16: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조선 초기 공납백자- 백자공안부명접시편


조선 초기 공납백자- 백자공안부명접시편


우리박물관에서는 매년 주제를 정하여 유적을 탐사하고 있다. 이러한 학술조사를 통해서 수집된 자료는 우리 박물관만의 독보적인 학술적 자산이 되기도 한다. 이런 자료중 하나가 이번에 소개할 ‘백자 공안부명(恭安府銘) 접시편’이다.

강원도 양구지역 도요지를 탐사하게 된 이유는 이곳이 조선 초기부터 백자생산지이면서 또한 조선시대 전반에 걸쳐 경기도 광주 관요에 백토를 공급하던 곳이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더욱 중요한 이유는 국립춘천박물관 소장품인 ‘이성계발원사리구’ 중 백자발에 새겨진 “신미년(1391년) 4월 방산(方山) 사기장(砂器匠) 심룡(沈龍)…”이란 명문의 방산이 양구군 방산면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즉 양구군 방산면에 있는 백자가마터에서 이와 유사한 유물이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 궁극적인 탐사의 목표였다.

수년간 겨울마다 이곳을 계속 탐사하였고, 그 정성의 보답인지 양구군 방산면 송현리의 가마터에서 명문이 새겨진 이 접시편을 수습하게 되었다. 보통 가마터 조사에서는 요도구와 그릇조각을 종류별로 최소량만 채집하는 것이 원칙이다. 이런 원칙에 따라 채집품을 정리하여 다음 장소로 이동하려는데, 예쁜 막내연구원이 땅에 얼어붙은 접시편 하나와 씨름하고 있었다. 그냥 떠나자는 선배들의 재촉에도 고집스레 그 접시편을 떼어내 채집품에 포함시켰다. 그런데 숙소에 돌아와 그날의 수습유물을 세척해보니, 그 마지막 채집품에 '공안부'란 명문이 새겨져 있는 것이 아닌가!

이 백자접시편은 치밀한 백색 태토에 청백색 반투명유약을 시유하였으며 부분적으로 유약이 뭉쳐 있다. 굽 부위는 시유하지 않았으며, 외면 굽 주위로 공ㆍ안ㆍ부라 한자씩 찍어 새겼다.

공안부는 조선 태종이 상왕으로 물러난 정종을 위해 1400년 설치한 임시 관청으로 1420년 인녕부(仁寧府)에 병합되며 폐지된다. 현재 ‘공안부’ 또는 ‘공안’이란 명문이 새겨져 있는 도자유물 5점이 학계에 보고되었는데 모두 분청자이다. 이 유물들은 1417~1420년경 공안부에 공납용으로 제작된 것이어서 조선시대 도자기 편년의 표준자 역할을 해 왔다. 그런데 우리박물관에서 최초로 분청자가 아닌 공안부명 백자 유물을 찾은 것이다. 양구군 방산에서 이 도자기편이 발견되면서 조선 초기 공납백자의 제작지 하나가 확인되었다.

그럼 그릇에 새겨진 글자는 왜 중요할까? 그릇에 관청 명칭을 새기게 된 것은 품질보장 및 그 관청의 전용물건임을 증명하기 위한 표시였다. ������조선왕조실록������의 기록을 통해 1417년부터 각 관청에 공납하는 그릇에 그 관청의 이름을 새기게 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관청 명칭이 붙은 유물은 우리들에게 그 제작시기와 소비처를 알려준다. 특히 공안부와 같이 존속기간이 짧은 경우는 편년의 범위를 정확하게 한정 짓는 효과가 있다.

이 유물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고려백자와 같이 나뭇재를 이용한 유약을 사용했음이 확인되었다. 이는 동시기 광주지역 백자들이 광물질 성분의 유약을 사용한 것과 대비된다. 또한 고려백자의 제작기법이 1420년경까지 양구의 방산가마에 계속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고려말(1391년) 경질백자인 금강산 월출봉 출토 ‘이성계 발원사리구’중 백자발에 새겨진 방산이 현재 양구군의 방산면일 가능성이 더욱 높아졌다.

비록 볼품없는 파편이지만 이 유물은 여말선초 백자생산과 관련한 많은 이야기를 담고 있는 귀중자료로 도자연구를 수행하는 다른 기관에서 부러워하는 유물이다.

필자: 명지대학교 박물관 학예팀

 
우유배달.jpg

백자공안부명접시편, 양구 방산면 송현리 요지 수습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 인문캠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거북골로 34 (명지대학교) 학생회관 2층
  • 자연캠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명지로 116 학생회관 2층
  • 대표전화 : 02-300-1750~1(인문캠) 031-330-6111(자연캠)
  • 팩스 : 02-300-1752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승환
  • 제호 : 명대신문
  • 창간일 : 1954년 11월
  • 발행인 : 유병진
  • 편집인 : 송재일
  • 편집장 : 한지유(정외 21)
  • 디자인·인쇄 : 중앙일보M&P
  • - 명대신문의 모든 콘텐츠(영상, 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명대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mjupress@hanmail.net
ND소프트